본문 바로가기
하루하루

동남아시아 전역에 유독성 연기가 발생하는 원인

by hop Hedge hop 2023. 10. 16.
반응형

 



동남아시아에서 국가 간 연무 또는 연무 문제가 새로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환경부 장관은 이번 주 인도네시아 정부에 서한을 보내 말레이시아 전역의 연기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이 서한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2030년까지 연무 없는 지역을 만들기로 합의한 지 불과 몇 주 만에 나왔습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최근 몇 주 동안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의 대기질 수치가 150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경험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그리고 기존에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더 큰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보르네오 섬의 인도네시아 쪽에서는 가시거리가 10미터 미만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는 어린 아이들의 건강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산불로 인한 연기가 국경을 넘어 인도네시아로 밀려오고 있다며 연무의 책임을 인도네시아에 돌리고 있습니다.

몇 년에 한 번씩 건기에는 '슬래시 앤 번' 토지 개간으로 인한 연기가 이 지역의 대부분을 뒤덮습니다. 슬래시 앤 버닝은 농작물을 심을 땅을 개간하기 위해 식물을 베어 태우는 농업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야자수를 심기 위해 땅을 개간하는 데 사용됩니다. 팜나무에서 생산되는 제품에는 기름, 펄프, 종이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공중 보건, 교육, 관광업과 같은 사업을 위협합니다.

정부는 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나?

이번 주 말레이시아가 인도네시아에 연무 현상을 '정상화'하지 말 것을 촉구한 후에도 인도네시아 관리들은 책임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시티 누르바야 바카르 환경부 장관은 최근 산불이 감소했으며 연무가 주변 국가로 이동하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인도네시아가 헬리콥터에서 물 폭탄을 투하하여 화재에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과거 인도네시아는 불법 소각이 의심되는 기업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매년 화재는 심각도만 다를 뿐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5년과 2019년에 인도네시아에서는 수백만 헥타르의 땅을 태운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록적인 오염이 발생했고 일부 지역은 유독성 황색 연기로 둘러싸였습니다.

 

 

 


왜 이런 일이 계속 발생하는 걸까?

인도네시아 법에 따르면 소규모 지역 농부들의 소각은 허용됩니다. 하지만 2헥타르 이하의 면적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모든 대규모 농장 소유주는 소각을 허용하지 않는 지속 가능한 팜유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이 규칙은 소규모 농장주들이 슬래시 앤 버닝 방식을 계속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지침을 따르는 것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공급망, 토지 소유권, 법률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대기업은 불법 토지 개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와 같은 국가에 본사를 둔 기업이 대규모 농장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당 지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은 최근 국경을 초월한 연무 오염 관리 센터(ACC THPC)를 설립했습니다.

이 센터의 목표는 회원국들이 국가 간 연무를 예방하고, 대처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 센터는 2030년까지 연무 없는 지역을 만들겠다는 아세안의 합의에 따른 것입니다.

이번 주 아세안 농림부 장관들은 농작물 연소를 줄이고 궁극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공동의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기후 변화가 상황을 악화시킬까?

환경운동가들은 인도네시아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열대우림 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가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인도네시아는 엘니뇨라는 기상 시스템으로 인해 건조한 날씨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린피스 인도네시아는 기후 온난화로 인해 산림 및 토지 화재가 더욱 심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후 위기가 가중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반응형

댓글